어떤 암호화폐가 '상품'(commodity)이냐 '증권'(security)이냐는 대단히 중요한 주제이다.


만약 증권이라면

- 증권법을 적용해서 강한 규제와 상장 심사로 스캠들은 애초에 상장 자체가 불가능하게 될 것이고

-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장성과 잠재력을 지닌 가치있는 토큰이라면 제도권의 규제 하에 합법적으로 거래되는 기업처럼 취급되어야 한다.


어떤 자산이 증권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테스트로 '호위 테스트'라는 것이 있다.

다음의 네 가지 조건에 모두 해당하면 증권으로 간주할 수 있다.


  1. 돈을 투자한 것이다. (It is an investment of money.)

  2. 투자로부터 수익을 얻으리라는 기대가 있다. (There is an expectation of profits from the investment.)

  3. 투자한 돈은 공동 기업에 있다. (The investment of money is in a common enterprise.)

  4. 수익은 발기인 또는 제3자의 노력으로부터 나온다. (Any profit comes from the efforts of a promoter of third party.)


4번 때문에,

- 핵심 프로토콜을 변경하거나 (ETH...)

- 네트워크를 임의로 멈추거나 (BNB, SOL, KLAY...)

- 커뮤니티에 강한 목소리를 내는 창시자가 있거나 (ETH...)

할 수 있는 '중앙화' 된, 사실상 벤처기업이나 다름없는 코인들은 증권이다.


이런 알트코인들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그 코인을 이끄는 사람들의 노력을 통해 가치가 오르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오직 비트코인만이

- 핵심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없고 (2017~2018 블록사이즈 전쟁 / 해시 전쟁)

- 네트워크를 멈출 수 없으며

- 창시자의 행방을 알 수 없음 (설령 돌아와도 현재는 사토시가 할 수 있는게 없음)


으로 명백히 '증권'이 아닌데, 프로토콜의 불변성이나 진정으로 탈중앙화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생각보다 매우 중요하다.


증권이라면 중앙화된 회사 주주들(코인에선 DAO, 밸리데이터들)의 결정으로 총 발행량이 변경될 수 있고, 회사의 정책 등이 바뀔 수 있지만, 비트코인은 현재 프로토콜을 앞으로도 절대 바꿀 수 없다는 측면에서 금이나 은 등의 '상품'(commodity)과 비슷한 성질을 띈다고 할 수 있다. (금을 은이나 백금으로 바꿀 수 없음과 동일하다.)


증권이라고 나쁜 것이 아니며, 비트코인과는 달리 소프트웨어 벤처기업들로 취급되어야 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이를 통해 FTX 사태 등 법의 회색지대 / 불명확한 규제를 틈타 벌어지는 폰지사기들이 사라지고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이 $1T, $10T, $100T 등을 향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마이클 세일러: 이더리움은 증권이다


CFTC 의장 로스틴 베넘: 비트코인만이 '상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