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흑두루미입니다.
비트코인 1시간봉 기준입니다.
급락의 원인부터 정리해보면,
첫째 103K 위에서 마감한뒤 105K까지 끌어올렸지만,
결국 105K 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되밀리면서 실망 매물로 인한 급락 구간이 나왔습니다.
둘째, 미국 셧다운 해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는
자금이 비트코인보다는 금과 주식시장 쪽으로 이동하는 흐름입니다.
마지막으로,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이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이라
코인 시장이 미국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고,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변동성이 크게 터진 모습입니다.
차트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보면, 103K 위에서 일단 지지를 받은 뒤 105K까지 무난하게 올렸지만,
결국 105K 근처에서 반복적으로 저항을 받고 다시 하락 전환된 구조입니다.
다만 중요한 포인트는 이번 하락에서도 101K 아래에서 봉 마감을 하지 않았고,
바로 되돌림을 주었다는 점입니다. 이 구간이 ‘101K 핵심 지지선’으로 작동했고,
아직 투자심리가 완전히 죽지는 않았다고 평가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결과적으로 98K ~ 107K 사이 박스권 안에서 계속 횡보하는 그림이 이어지고 있고,
상단 106K·하단 98K가 큰 박스, 그 안에서 101K가 중간 축 역할을 해주는 구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실전 꿀팁을 하나 짚고 가면,
“지금부터 계속 횡보를 할지, 아니면 추세를 새로 정할지" 는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어떤 명분을 붙이든 결국 미래를 정확히 맞추는 건 불가능하고,
차트에는 절대적인 정답이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지지·저항과 기본적인 파동 구조를 근거로 시나리오를 세우고,
그 시나리오에 맞춰 매수·매도 대응을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흑두루미 개인 시나리오를 말씀드리면, 마지막 C파 구간을 보시면
이전 4파에서도 한 차례 지지를 받고 상승이 나왔고,
이번 C파에서도 동일 구간에서 다시 지지받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구조적으로는 한 번 더 위·아래로 흔들면서 횡보 파동을 한 차례 더 만들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한 RSI도 저점을 높여가며 상승 유지 패턴을 만드는 모습이라,
단기적으로는 다시 한 번 롱 관점으로 볼 수 있는 구간이라고 판단합니다.
그래서 현재는 롱 포지션으로 대응 중이며, 다만 이번 시나리오는 굉장히 예민하게 보고 있기 때문에
101K 아래에서 캔들이 확정 마감되는 순간에는 미련 없이 포지션을 정리할 계획입니다.
흑두루미 단톡방
http://open.kakao.com/o/gzUKyuZh
흑두루미 유튜브 채널
http://www.youtube.com/@blackdurumi-%EC%85%80%ED%8D%BC%EB%9F%B4
본 콘텐츠는 시장 분석과 정보 공유를 위한 자료이며
특정 자산의 매수·매도를 권유하는 행위가 아닙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높은 변동성을 보이므로,
투자 전 본인의 판단과 리스크 관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본 내용은 개인 의견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





















